지방자치
최근 10년간 서울대 자퇴생 중 84.2%가 이공계열
기사입력: 2022/09/22 [04:57] ⓒ 성남피플
김영욱
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
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

 

최근 10년간 자퇴생 총 1,990명 중 이공계열 1,676(84.2%)

연도별 자퇴생 2012년 120명 → 2021년 330(최근10년 간 최다), 2.75배 증가

사범대학 자퇴생 205명 중 172명 83.9%는 이과교육계열 학과  

 

국회 교육위원회 문정복 의원(더불어민주당·경기 시흥갑)이 서울대학교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최근 10년간(2012~20228서울대 자퇴생(학부기준)은 총 1,99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10년간 연도별 현황을 보면 작년도(2021자퇴생이 총 33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이는 2012년도 자퇴생 120명 대비 2.75배 증가한 수치다.

 

학년별 자퇴생 현황의 경우 1학년(1,070, 53.8%) 2학년(483, 24.3%) 3학년(303, 15.2%) 4학년(131, 6.6%) 순으로 나타났다.

단과대별 자퇴생 수 상위 3개 학과는 모두 이공계열로 공과대학(551, 27.7%) 농생명과학대학(489, 24.6%) 자연과학대학(270, 13.6%) 순으로이는 전체 자퇴생의 65.8%(1,990명 중 1,310수준이다.

 

그러나 사범대학 생물·화학·지구과학·물리·수학교육과수의과대학간호대학식품영양학과 등 이학계열 자퇴생을 모두 포함할 경우 전체 자퇴생의 84.2%(1,990명 중 1,676)에 달했다.

반면 의·약학대학의 최근 10년간 자퇴생 수는 총 16명에 그쳤으며이는 전체 자퇴생 중 0.8% 수준에 불과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.

 

한편 학기별 자퇴생 수를 분석한 결과최근 5년간(2017~2021) 1학기 자퇴생은 93명에 불과했으나, 2학기 자퇴생은 무려 1,074명에 달했다.

이는 대부분 자퇴생들이 의·약학대 진학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되며향후 의대 증원 및 약대 학부전환이 실시될 경우 이공계 이탈은 가속화될 전망이다.

문정복 의원은 이공계열 자퇴생의 급증은 과학기술 발전의 근간을 약화시킬 중대한 사안이라며, “서울대학교는 물론교육부 등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

ⓒ 성남피플.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
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
내용
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,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
 
1/10
TOP 10